사회 사회일반

서울 '학교자율시간' 활성화…교사가 만든 AI 과목 듣는다

교육청, 교사 대상 직무연수 진행

국가 교육과정 외 과목 개설·운영







7월부터 서울 소재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인공지능(AI) 과목 등 교사가 직접 개발한 과목을 더 많이 들을 수 있게 됐다.

6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시교육청은 지역과 학교 여건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과목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교원의 교육과정 설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자율시간’을 7월부터 본격 활성화한다



학교자율시간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학교가 지역과 학교 여건, 학생 필요에 따라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의 일부를 활용해 국가 교육과정 외에 교육감의 승인을 받은 새로운 과목을 개설·운영하는 시간이다.

관련기사



서울시교육청 교육감 승인 과목으로는 교사들이 직접 개발한 '인공지능과 미래 사회', '모두의 학교 공간 디자인', '우리 학교 탐구생활, '짝 토론과 사회 참여', '나를 알고 함께하는 성장' 등 다양한 과목이 있다.

모두의 학교 공간 디자인을 개발한 임휘 신도봉중 교사는 "과목 개발은 우리 학교만의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좋은 기회였다"며 "선생님들이 학교자율시간을 위한 다양한 과목 개발을 통해 자율적인 교육과정을 실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교육청은 교사들의 과목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이달 12일부터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과목 개발 직무연수'를 운영한다. '교사, New과목을 창작하다: 학교자율시간 전문가 연수'라는 이름으로 총 15시간에 걸쳐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이해 및 교육감 승인 과목 개설 방법 △학교자율시간 운영 설계 및 과목 개발 사례 △학교자율시간 운영 사례 △디지털 기반 과목 개발 실습 △과목 개발 공유 및 교과용 도서·학습자료 개발 등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학교자율시간은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사가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학생의 삶과 연결된 과목을 만들어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며 "연수를 통해 교원들이 교육과정 전문가로 성장하고, 서울형 학교자율시간 운영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