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해병대원 의혹' 전 국방장관 "尹 우려의 말씀"…尹 통화 인정

특검, VIP격노설 수사 속도

이종섭 전 장관 측 "尹 통화로 우려의 말씀"

격노설 부인했지만…당시 통화 인정

정민영 특검보가 7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팀 브리핑룸에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정민영 특검보가 7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팀 브리핑룸에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병대원 순직 사건에 따른 수사 외압 사건과 관련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통화로 “우려의 말씀을 했다”고 전했다. 이른바 ‘VIP격노'의 단서가 될 수 있는 발언이지만 이 전 장관은 ‘격노’는 아니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광 변호인은 21일 “(해병특검팀에 발송한) 의견서에서 2023년 7월 31일 윤 전 대통령과 전화한 것이 맞고 군을 걱장하는 우려의 말씀을 하신 것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고 했다.

관련기사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해병대원 사건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 전 장관에게 걸려온 ‘02-800-7070’ 번호의 발신자가 윤 전 대통령이었다는 것이 확인된 셈이다. 이 전 장관은 이날 오전 11시 54분께 이 전화를 받고 2분 48초간 통화했다. 통화 직후 이 전 장관은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고, 해병대원 사건에 대해 경찰 이첩을 보류하고 국회와 언론 브리핑도 취소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이 전 장관 측은 이 통화에서 ‘VIP격노’는 없었고 일반적인 통화였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사건 이첩을 중단하라’, ‘임성근 당시 해병대 1사단장을 사건 혐의자에서 빼라’ 같은 지시도 없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임 전 사단장을 혐의자로 보는 수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해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이첩을 보류시켰다는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당시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했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과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 등은 최근 특검팀 소환조사에 나가 윤 전 대통령이 수사결과를 듣고 격노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