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 달에 200만 원씩 손해 보고 있다?"…직장인들 '한숨' 나오는 이유가

연합뉴스연합뉴스




서울시민 100명 중 약 14명이 하루 통근·통학에 쓰는 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통근시간 1시간이 넘어가면 월 약 94만 원의 손해를 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11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서울시 평균 통근·통학 시간은 편도 기준 약 34.5분으로 왕복 1시간이 넘는다. 2024년 수도권 생활 이동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서도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서울시 내부 평균 출근 시간은 약 35.3분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서울시의 2023년 서베이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시민 중 13.5%가 편도 통근 또는 통학 시간이 1시간을 넘는다고 답했다. 즉, 100명 중 약 14명이 매일 2시간 이상을 왕복 통근·통학에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편도 1시간 이상인 서울 시민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은 양천구, 강동구, 강북구, 도봉구 등 교통이 불편한 서울 외곽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긴 통근 시간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국교통연구원은 2013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통근 시간 1시간의 경제적 가치는 한 달에 약 94만원이라고 추산한 바 있다. 왕복 2시간으로 계산하면, 한 달에 약 188만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셈이다. 하지만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서 긴 통근 시간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서울연구원은 2010년 이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도시 성장과 복잡화, 주택 가격 상승으로 많은 사람이 직장 위치와 상관없이 서울 외곽과 경기도에 주거지를 마련하면서 결과적으로 장거리(장시간) 통근을 유발하고 있다고 짚었다.

건설업 대위기, 부동산 시장 급변 분석 [AI PRISM x D•LOG]
경영환경 대변화, CEO 필수 가이드 [AI PRISM x D•LOG]


남윤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