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외국산 터빈 안 돼"…정부, 해상풍력 산업 공공 주도로 재편

외국산 터빈 쓰겠다는 민간 모두 '탈락'

정부 "안보·공급망 지표 강화에 초점"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해상 풍력단지. 연합뉴스.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해상 풍력단지. 연합뉴스.





향후 수백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기대되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 국산 터빈이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해상풍력 경쟁 입찰에서 외국산이나 외국 기술 터빈을 사용하기로 한 민간 프로젝트가 모두 탈락하면서 정부가 해상풍력 공공성·안보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 입찰 진행 결과 공공주도형 분야에서 입찰 참여 4개 사업자가 모두 선정됐다고 밝혔다. 4개 사업자의 총 설비 용량은 689메가와트(㎿)로 당초 공고됐던 공공 분야 설비 용량(500㎿ 내외)을 초과했다. 반면 목표 물량이 750㎿ 안팎이었던 일반형 분야에서 사업 계획을 낸 2개 사업자는 모두 탈락했다. 낙찰된 사업자들은 생산한 전기를 20년간 고정 가격에 판매할 권리를 보장받아 장기적으로 안정적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처음 운영되는 공공 입찰 분야 내 신청 사업자가 모두 선정된 반면 일반 분야 신청 사업자는 모두 탈락한 점에 주목했다. 정부가 안보·공급망 기여도에 중점을 두겠다는 신호를 보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입찰에서 낙찰자로 선정된 사업 중 서남권 해상풍력 시범단지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사업은 모두 두산에너빌리티의 10㎿ 대형 터빈을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두산에너빌리티의 10㎿ 터빈은 시장에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정부가 해상풍력 발전 시장 내 공급망 강화에 나선 것은 국내 시장 규모가 빠르게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장 2030년까지만 해도 약 14기가와트(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여기에만 약 100조 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보 지표와 공급망 지표를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