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시진핑·푸틴 ‘비핵화’ 함구…북핵 고착화 경계해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4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4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4일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비핵화’ 언급은 뺀 채 ‘공동 이익 수호’를 외쳤다. 김 위원장은 “양국이 호혜적인 경제 무역 협력을 심화해 더 많은 성과를 얻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북측과 조정을 강화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회담도 북핵 관련 공개 발언 없이 마무리됐다. 김 위원장이 동맹들로부터 핵 보유를 암묵적으로 용인받기 위한 수순을 밟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2023년 3월 중러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포함한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를 일관되게 지지해왔다”고 천명했다. 특히 시 주석은 2019년 4차 북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를 향해 노력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런 두 정상이 이번에 비핵화 이슈를 회피한 것은 미국 견제를 위해 북핵 불용 기조까지 바꿀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만약 김 위원장이 북중 정상회담에서 “유엔 등 다자 플랫폼에서 계속 조정을 강화해 양측의 공동 이익과 근본 이익을 수호하기를 바란다”고 밝힌 데 대해 중국이 호응한다면 유엔 대북 제재마저 약화될 수 있다.

정부는 중러의 기조 변화로 북핵 위협이 고착화되지 않도록 경계하면서 정교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북핵·미사일 동결-축소-비핵화’의 3단계 로드맵을 제시했지만 중국·러시아의 협력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를 ‘한반도 비핵화 지지’ 입장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이달 15~19일 실시되는 한미일 합동 군사 훈련 ‘프리덤 에지 25’에서는 실전 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북핵 억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일이 중요하다. 최근 “폴란드에서 (미군의) 철군을 고려해 본 적 없지만, 다른 나라에 대해선 고려 중”이라고 밝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언급이 주한미군 전력 약화로 이어지는 일이 없도록 미국과의 소통을 긴밀히 유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