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아빠도 은행 다니면 안 돼?”…금융권 평균 월급 ‘800만원’으로 숙박·음식점의 ’3배’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기사와 직접적인 상관 없는 사진. 뉴스1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기사와 직접적인 상관 없는 사진. 뉴스1




올해 상반기 대기업의 성과급이 크게 늘어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금융·보험업의 월평균 임금은 805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과 세 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2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 인상 현황 분석’에 따르면, 상용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418만8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다. 전년 동기 인상률 2.2%보다 1.3%포인트 오른 수치로, 성과급 중심의 특별급여 확대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300인 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619만9000원으로 5.7% 올랐지만, 300인 미만 사업체는 2.7% 오른 373만9000원에 그쳤다. 이에 따라 대·중소기업 간 격차는 지난해 222만6000원에서 246만원으로 확대됐다.



특히 300인 이상 사업체의 특별급여 인상률은 12.8%로 월평균 159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특별급여 인상률은 3%에 머물러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경총은 “대기업 성과급이 전체 임금 인상 흐름을 주도했지만 중소기업과의 격차는 여전하다”고 풀이했다.

관련기사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의 월평균 임금총액이 805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인상률도 7.2%로 17개 업종 중 1위를 차지했다. 숙박·음식점업은 263만5000원으로 가장 낮아 금융·보험업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전기·가스·증기업(-1.8%)과 광업(0.0%)은 오히려 임금총액이 줄어들었다.

금융·보험업의 경우 정액급여는 3.3% 오르는 데 그쳤지만, 특별급여가 16% 급증하면서 전체 인상률을 끌어올렸다. 성과급 구조가 업종 간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셈이다.

임금총액 상위 업종은 금융·보험업에 이어 전기·가스·증기업(731만4000원), 전문·과학·기술업(552만2000원), 정보통신업(543만1000원), 광업(460만8000원) 순이었다. 숙박·음식점업(263만5000원)이 가장 낮았다.

인상률에서는 제조업(4.8%), 정보통신업(3.9%), 보건·사회복지업(3.6%), 협회·기타서비스업(3.3%) 순으로 뒤를 이었다. 마이너스 성장률(-1.8%)을 기록한 업종은 전기·가스·증기업 뿐이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올해 상반기는 높은 대기업 특별급여 인상이 전체 임금상승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면서 “최근 미국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일부 대기업 노조의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해칠 뿐 아니라 노동시장 내 격차 확대와 사회 갈등 심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지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빠도 은행 다니면 안 돼?”…금융권 평균 월급 ‘800만원’으로 숙박·음식점의 ’3배’


강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