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올해 쌀 작황 작년보다 양호…햅쌀 판매 시 수급 안정 전망”

정부 "기상여건 좋아 벼 생육 양호"

단위 생산량 전년·평년보다 증가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이달 15일 관계자들이 수확한 연구용 벼를 탈곡한 후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키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경기도 화성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이달 15일 관계자들이 수확한 연구용 벼를 탈곡한 후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키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쌀 작황이 지난해보다 양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상여건이 좋아 벼 생육이 양호해 본격적인 햅쌀 판매가 시작되면 향후 쌀 수급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농촌진흥청·한국농촌경제연구원·현장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올해 쌀 생산 단수(단위 면적 당 생산량)가 평년 대비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2025년산 쌀의 단위 생산량은 10a(아르·1a는 100㎡) 당 524~531㎏으로 작년보다 2.0~3.2%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평년 대비로는 1.2~2.5%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농경연은 “약 5만 5000톤 수준의 2024년산 정부양곡 대여곡의 반납 물량을 감안해도 올해 쌀 생산량은 수요량을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작황은 양호하더라도 쌀 생산량은 335만~360만 톤 수준으로 지난해(359만 톤)나 평년(368만 톤)보다는 적을 수 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이 67만 8000㏊(헥타르)로 전년 대비 2만㏊ 감소했기 때문이다. 벼 재배면적 조정제에 따라 벼 재배면적은 4년 연속 줄어들고 있다.

산지 쌀 가격은 이달 15일 기준 20㎏당 5만 6333원으로 지난해보다 28.8% 높다. 정부는 쌀값 상승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양곡 5만 5000톤을 산지에 대여 형식으로 공급하고 있다. 햅쌀 수확이 시작되는 10월 초까지는 인상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확기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올해 작황과 쌀값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수확기 쌀값 안정을 위해 차질 없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