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성장펀드’ 국민투자금 3조 확정

文정부 ‘뉴딜펀드’ 사례 참고

稅혜택·손실보전장치 넣을듯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은행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밋업’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은행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밋업’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50조 원 규모로 조성을 추진 중인 국민성장펀드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투자 규모가 3조 원으로 정해졌다. 당국은 문재인 정부 때 만든 뉴딜펀드와 비슷하게 세제 혜택과 손실 보전 장치를 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부는 1일 서울 여의도 한국산업은행에서 정부·산업계·금융권 합동 간담회를 열고 국민성장펀드 운용 방안을 공개했다.

관련기사



앞서 정부는 △간접투자 35조 원 △직접투자 15조 원 △초저리대출 50조 원 △인프라금융 50조 원으로 나눠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간접투자액 35조 원 중 일부를 국민참여형펀드로 만들겠다고 했는데 이번에 구체적인 조성 목표액 3조 원이 제시됐다. 나머지 간접투자분 32조 원 중 4조 원은 초장기 기술투자펀드에 할당되며 28조 원은 대규모 프로젝트·블라인드펀드로 꾸릴 방침이다. 인공지능(AI) 분야에만 최소 30조 원이 투자된다.

정부는 2021년 출시된 뉴딜펀드 사례를 참고해 국민참여형펀드를 만들 계획이다. 뉴딜펀드는 손실의 최대 20%까지 정부 재정으로 메우는 구조였다. 이번에도 정부가 후순위 투자자로 들어가 일반 투자자의 손익을 보장해줄 가능성이 높다. 세제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뉴딜펀드는 배당소득세 9% 분리과세 혜택을 제공한 적이 있다. 시장에서는 소득공제·비과세 혜택 등 각종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이날 국민성장펀드의 투자 부문별로 산은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얼마나 배분할지도 공개했다. 예를 들어 50조 원을 투자할 예정인 인프라금융에는 첨단전략산업기금을 10조 원 투입한다. 민간에서 나머지 40조 원을 조달하겠다는 뜻이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