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적금에서 펀드, 주택담보대출, 연금저축, 실손의료보험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금융상품 통합 비교 공시 시스템 '금융상품 한눈에(finlife.fss.or.kr)'가 14일 정식 오픈한다. 이 서비스는 금융개혁 실천과제 중 하나로 소비자들이 개별 재무 상황과 거래 목적 등 조건에 맞는 금융상품을 찾아 조회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 업계는 13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사이트 공식 오픈을 앞두고 시연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는 진웅섭 금감원장을 비롯해 은행연합회, 생명·손해보험협회, 금융투자협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금융협회 임원들이 참석했다. 직접 시연에 나선 진 원장은 "금융상품의 핵심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맞춤형 비교공시'라는 점에서 기존 비교공시와 차별된다"며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은 예·적금, 대출, 연금저축 등에 대한 다각적 정보를 제공해 국민의 재산 증식과 주택 마련, 노후 대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교 공시 대상 금융상품은 △정기예금(160개) △적금(178개) △연금저축(216개) △주택담보대출(133개) △전세자금대출(56개) 등 177개 금융회사의 853개 상품이다. 단 펀드나 실손보험·자동차보험 등에 대한 정보는 펀드공시·보험다모아 등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제공한다.
금융감독원과 금융 업계는 13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사이트 공식 오픈을 앞두고 시연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는 진웅섭 금감원장을 비롯해 은행연합회, 생명·손해보험협회, 금융투자협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금융협회 임원들이 참석했다. 직접 시연에 나선 진 원장은 "금융상품의 핵심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맞춤형 비교공시'라는 점에서 기존 비교공시와 차별된다"며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은 예·적금, 대출, 연금저축 등에 대한 다각적 정보를 제공해 국민의 재산 증식과 주택 마련, 노후 대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교 공시 대상 금융상품은 △정기예금(160개) △적금(178개) △연금저축(216개) △주택담보대출(133개) △전세자금대출(56개) 등 177개 금융회사의 853개 상품이다. 단 펀드나 실손보험·자동차보험 등에 대한 정보는 펀드공시·보험다모아 등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