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기조 속에 연 9%대 수익률을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출시 약 2년 만에 청년 3명 중 1명이 해당 계좌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청년도약계좌 누적 가입자는 200만 2000명으로 가입 대상 청년층(약 600만 명) 대비 33.4% 수준에 도달했다. 2023년 6월 상품 출시 이후 2년 만의 기록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면 은행 이자에 정부 기여금을 더해 5년간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정책금융 상품이다. 올해 들어 정부 기여금이 확대되며 수익률도 기존 최대 연 8.87%에서 9.54%로 상승했다.
신청자 수도 최근 들어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달 신청 기간(9일) 동안 하루 평균 신청 인원은 2만 4100명으로, 작년 말(13일간 5만 6000명, 일평균 4300명) 대비 5.6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은행권 예·적금 금리가 하락한 것도 청년도약계좌의 상대적 매력을 높였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는 연 2.55~2.60% 수준이다. 자유 적립식 적금상품 최고금리도 연 2.30~3.95%에 불과하다.
다만 청년도약계좌가 윤석열 정부의 핵심 청년 정책상품이라는 점에서 정권 교체 이후 지속 여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윤 정부가 예고한 ‘투자형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출시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해 말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적금형 외에도 금융투자 상품 거래를 허용하는 방안을 예고한 바 있다. 정권 교체 시 제도 일부가 조정되거나 신규 청년 상품으로 대체되는 등 구조 변화 가능성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