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외국 관광객, 코레일 만족도 93점… '정시성' 높게 평가"

외국인 철도 이용객 301명 대상으로 대면조사

"전체의 97%는 코레일 열차 재탑승할 의향 있어"

한국철도공사의 고속전철(KTX)이 승강장을 진입하고 있다. 사진 제공=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고속전철(KTX)이 승강장을 진입하고 있다. 사진 제공=코레일




외국인 철도 이용객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비스와 관련 ‘정시성’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줬다. 전체 10명 중 6명은 “코레일을 알고 있다”고 답하는 등 인지도도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코레일은 외국인 301명을 대상으로 철도 만족도와 역·열차 서비스 평가, 승차권 예매 방법 등 총 37개 항목을 평가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8일과 19일 서울, 부산역과 KTX 등 열차에서 대면조사로 이뤄졌다.



외국인 응답자의 코레일 이용 종합만족도는 93점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96.7%가 “미래에 한국을 다시 방문할 경우에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 전체의 97%는 “지인에게 코레일을 추천하겠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열차 운행과 관련해선 ‘정시성(96.4%)’을 가장 만족스러운 항목으로 꼽았다. 자국 철도 이용 경험자의 65.5%가 코레일 서비스가 자국보다 더 우수하다고 응답했다. 항목별로는 정시성과 더불어 신속성(59.1%), 직원 승무원 친절성(50%) 등을 높게 평가했다.

승차권 예매 방법을 조사한 결과, PC·모바일 등 코레일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한 비율이 45.5%로 가장 많았다. 모바일 앱 ‘코레일톡’ 예매자도 11.3%를 차지했다. 매표창구(13%) 예매나 여행사 상품에 포함된 경우(8%)는 10% 안팎이었다. 외국인 철도 이용객의 코레일 인지도는 2024년보다 6.1%포인트 상승한 60.5%를 기록했다. 코레일을 알게 된 경로는 인터넷 검색(61.5%), 지인 소개(18.7%), 기존 여행 경험(11.5%), 여행 유튜브(4.9%)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코레일은 지난해 6월부터 외국인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전담 태스크포스(TF)도 운영 중이다. 코레일은 △다국어 홈페이지 좌석선택 기능 추가 △철도고객센터 외국어 채팅상담(8개 언어) 시행 등 17개 과제를 발굴해 서비스를 꾸준히 개선해왔다. 올 4월에는 서울역 등 주요 역에 외국어 안내방송을 확대하고, 애플페이 간편 결제를 도입했다. 하반기에는 해외카드 결제가 가능한 자동발매기를 전국 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앞으로도 외국인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글로벌·디지털 친화형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