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만파식적] 日 ‘와트-비트’ 전략






일본 간사이전력이 후쿠이현에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처음으로 원전을 신설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전력 공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2023년 8.5%에서 2040년 20%로 크게 늘릴 방침이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제로(0) 목표를 달성하려면 원전이 절실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탈(脫)탈원전’을 선언하며 내세운 에너지 정책 중 하나가 올 3월 발표한 ‘와트-비트’ 연계 전략이다. 전력 단위인 와트(Watt)와 통신 단위인 비트(Bit)를 결합해 만든 신조어로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 전환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개념이다.

관련기사



일본의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에 필요한 전력 수요는 올해 36억 ㎾h에서 2034년 514억 ㎾h로 14.3배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데이터센터의 90% 정도가 도쿄 수도권과 오사카에 집중된 반면 원전이나 재생에너지 자원은 지방에 몰려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는 송전망 확충 등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자체를 지방으로 분산·이전하려 하고 있다. 올해 6월에는 전력·통신 인프라 구축, 민관 협력 체계 마련, 지방자치단체와 협업 등 정책 과제를 담은 보고서도 내놓았다.

물론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지방에서는 우수 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데다 만들어진 데이터를 대도시 본사로 보내려면 광역 통신망을 확충해야 한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와트-비트 전략을 통해 지방 제조업의 디지털화 촉진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일본을 ‘제2의 석유’로 불리는 데이터 유통의 국제 허브로 만드는 것이 목표다. 이재명 정부도 최근 지방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장려하기 위해 세액공제 등의 지원책을 발표했다. 전 세계적인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대응하려면 인허가 완화, 인력 양성, 정주 여건 개선 등 체계적인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최형욱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