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하와이 갔다 영수증 보고 '깜짝'"…여행 가면 이제 '이 요금'도 내야 한다는데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휴가철 해외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호텔 요금표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와이·몰디브·발리 등 인기 휴양지에서 최근 ‘기후 세금’이 붙고 있다. 호텔 숙박부터 국립공원·보호구역 입장료까지 모든 관광 활동에 기후에 대응하기 위한 명목으로 추가 요금이 도입되는 추세다. 각국 정부는 이를 단순 세수 확보가 아니라 “관광 명소를 기후 재난에서 지켜내기 위한 투자”라고 강조하고 있다.

5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미국 하와이는 지난 5월 ‘기후 위기’를 명시한 관광세 법안을 통과시켰다. 기존 숙박세에 0.75%를 얹는 ‘그린피(Green Fee)’ 제도다. 이를 통해 매년 1억 달러(약 1387억원) 규모의 재원을 마련해 산불 복구, 산호 복원, 기후 적응 사업에 쓸 예정이다. 조쉬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연간 1000만 명이 방문하면서 환경이 큰 압박을 받고 있다”며 “기후 재난에 대응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제도 시행은 2026년부터다.



그리스는 올해부터 기존 ‘숙박세’를 ‘기후 위기 회복 탄력성 요금’으로 바꿨다. 호텔 등급과 성수기에 따라 1박당 0.51유로(약 820원)를 부과하며, 미코노스·산토리니 등 인기 지역은 최대 20유로(약 3만2000원)에 달한다. 정부는 연간 약 4억 유로(약 6400억원)를 모아 수자원 인프라 개선, 재해 예방, 생태 복원 사업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동남아 인기 관광지 발리도 지난해부터 외국인 관광객에게 15만 루피아(약 1만2000원)의 환경 기금을 받고 있다. 몰디브는 2015년 도입한 ‘그린 택스’를 올해 두 배로 인상해 대부분 호텔과 리조트에서 1인당 1박 12달러(약 1만6700원)를 부과한다. 이 세금은 쓰레기 처리와 해안 방재에 사용된다.

전문가들은 “세금을 얼마나 투명하게 집행하느냐가 ‘기후 관광세’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몰디브는 ‘그린펀드’ 사용 내역을 매달 공개하며 신뢰를 확보하고 있고, 하와이도 산불 이후 60쪽에 달하는 기후 회복 전략 보고서를 내놨다.

여행객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부킹닷컴 조사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여행객의 75%가 “앞으로 더 지속가능한 여행을 하겠다”고 했으며, 71%는 “방문한 지역을 더 나은 모습으로 남기고 싶다”고 답했다. 또 유로모니터 조사에서는 80% 가까운 여행객이 “지속가능한 여행을 위해 10% 이상의 추가 비용을 낼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하와이 갔다 영수증 보고 '깜짝'"…여행 가면 이제 '이 요금'도 내야 한다는데


조수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