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세계 최초로 ‘부유체 기반의 탄소 포집·저장(CCS)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동남아시아 분산 CCS 저장소 운영을 위한 시설 및 기술 개발’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CCS는 배출 이산화탄소를 땅속 깊은 곳에 안전하게 주입해 영구 저장하는 기술이다.
현대건설이 이번에 수행하는 과제는 동남아의 고갈된 해양 유·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다. 이는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을 바다 밑 고정된 구조물에 대한 주입 방식에서 벗어나 동남아에서 효율성이 높은 부유식으로 확장하는 형태다. 총 연구비는 58억 원이며 42개월간 한국석유공사·미국선급협회·서울대 등 8곳과 함께 국책사업 연구로 진행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세계 최초로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부유식 콘크리트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주입 시스템 개발에도 나선다. 기본설계승인(AIP)을 확보해 사업모델까지 도출할 계획이다. 인프라 구축비용을 기존 고정형 방식보다 25%까지 절감할 예정인 만큼 향후 동남아 CCS 사업 확대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 탄소 중립 클러스터로 사업을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부유식 CCS 기술은 블루 수소 등에도 활용도가 높아 사업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나 암모니아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해양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면 생산·저장·이송 전 과정의 탄소배출을 최소화할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해 국내 이산화탄소를 해외로 이송·저장하는 ‘국경 통과 CCS’ 사업에 활용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