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문화예술인들과 이 분야 관련공무원의 절반은 일본 대중문화를 개방할 경우 한국 대중문화 발전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15일 밝혀졌다.
국회 문화관광위 소속 崔在昇의원(국민회의)이 문화예술인과 관련공무원 236명을 상대로 실시한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대한 문화예술 분야 전문인 의견조사'에 따르면 일본대중문화 개방의 영향에 대해 `대중문화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견해가 48%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중문화 침체(21%) ▲일본문화에의 종속(15%) ▲우리문화의 일본진출 계기(9%) 등의 순으로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문화 개방시기에 대해서는 ▲일정기간 유예 뒤 개방(41%) ▲빠를수록 좋다(24%) ▲늦추는 것이 좋다(20%) ▲개방불가(14%) 등이었고, 유예기간에 대해서는 `3년뒤'가 51%로 가장 많았고 1년뒤, 5년뒤는 각각 28%와 18%에 불과했으며, 개방 방법은 전면개방(26%)보다 장르별 선별개방(73%)을 선호했다.
일본문화 개방 이유에 대해서는 ▲문화예술 접촉은 개인자유(36%) ▲일본문화만 불허하는 것은 불공평(27%) ▲우리문화의 선진.고급화를 위해(26%) 등인 반면 개방반대 이유로는 ▲문화.경제 종속(33%) ▲저질상업문화 범람(30%) ▲일제잔재 청산지연(12%) 등을 꼽았다.
또 양국 문화의 비교우위를 묻는 질문에는 76%가 `각각의 특성으로 비교할 수 없다'고 답했으나 우리문화가 우수하다(8%)는 답변에 비해 일본문화가 우수하다(14%)는 답변이 다소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