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자동차업체들이 나설 때다
지난 1월14일 독일 정부는 9년 이상 된 노후 차량을 폐차하고 새차를 사면 최대 2,500유로(약475만원)를 지원하는 자동차 산업 내수 진작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으로 굳게 닫힌 소비자들의 지갑이 열렸다. 지난 2월 독일의 자동차 판매 대수는 27만7,74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1%나 증가했다.
중국 정부도 1월20일부터 1,600cc 이하 승용차의 취득세를 10%에서 5%로 낮췄다. 그 결과는 지난 2월 중국 자동차 판매 대수가 82만7,6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증가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중국은 또 이달부터는 오래된 화물차나 삼륜차를 폐차하고 새차로 바꾸면 구입액의 10%까지 지원해 주는 지원책을 새로 마련해 시행 중이다.
자동차 산업은 그 나라 국가의 기술력을 상징한다. 뿐만 아니다. 고용과 세수 그리고 수출 등 경제의 모든 측면에서 자동차 산업의 기여도는 엄청나다. 자동차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서둘러 내수 진작 정책으로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는 배경도 바로 이 때문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결국 지원 대열에 합류했다. 정부가 26일 발표한 ‘자동차 지원 방안’은 경기 침체로 얼어붙은 자동차 내수 시장에 훈풍이 불게 할 만큼의 내용이 담겨 있다.
10년 안팎의 자동차 소유자는 조만간 차를 교체해야 하는 잠재 고객. 이들이 세제 혜택을 수백만원씩 차량 가격을 줄일 수 있다면 지갑을 열 가능성이 높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정부 지원책으로 올해 20만대 안팎의 내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정부는 세수 감소라는 부담을 무릅쓰고 자동차 산업 지원을 결정했다. 이제 남은 것은 자동차업계의 몫이다.
자동차 업계는 그동안 줄기차게 “지금이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우리 자동차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시기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고 주장해 왔다.
24일 국내 5개 완성차 업체 사장단은 정부 지원을 촉구하며 ▦2조6,000억원의 연구개발(R&D) 투자와 ▦노사협력을 통한 생산성 제고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 등을 약속했다.
정부의 지원과 자동차업계의 약속이 시너지를 일으켜 대한민국 자동차산업이 세계 정상권의 자리에 오르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