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對러차관 해외매각 추진
씨티등 몇몇 해외금융기관 매각의사 타진
은행권이 지난 91년 러시아에 제공했던 약 10억달러 규모의 경협차관을 되돌려받지 못해 골치를 앓고 있는 가운데, 일부 채권은행이 해외 금융기관을 통해 대러시아 차관을 유동화하는 방안을 검토, 관심을 끌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19일 "씨티뱅크등 해외금융기관들이 최근 서울 등 몇몇 은행들을 대상으로 대러시아 차관을 매각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등에 대한 의사를 타진해 와 실무적인 검토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부은행들은 정부가 대지급한 대출금을 조속히 해결하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내 상환여부가 불투명하자 채권유동화를 통한 조기상환을 위해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매각조건등에 대해서는 추후 협의를 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채권은행들은 대러시아 차관이 정부가 지급보증을 서는 등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진 거래가 아닌 만큼 차주인 러시아정부의 사전동의 및 재경부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보고, 관계당국과 협의를 벌이고 있다.
채권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일단 정부에 연내 대지급 약속을 지켜줄 것을 촉구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상황을 지켜본 뒤 최종 의사결정을 내릴 계획"이라며 "그러나 현재 재경부에서는 정부가 지급보증까지 선 채권을 해외에 매각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실제 거래가 성사될 지 여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한편 채권은행들은 원금과 이자를 합쳐 약 16억달러에 달하는 대러시아 채권에 대해 정부가 대지급 약속을 지키더라도 이를 원화로 지급할 경우 대규모 외환포지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마련 작업도 함께 벌이고 있다.
채권은행들은 이에 앞서 주간은행인 산업은행을 통해 정부에 대러시아 차관 원리금 전액을 연내 대지급해 줄 것을 재차 건의한 바 있다.
이진우기자